프로젝트 정보
기간 | 2023.11.20 ~ |
인원 | 총 4명 , FE 2명, BE 2명 (BE로 참여) |
나의 역할 | 1. 프로젝트 기획 참여 2. BE 프로젝트 초기 셋업 및 socket 연결 3. user api 구현 4. auth api 구현 |

2023.11.20 (월)
주말에 인프런에서 프로젝트 팀을 구하는 공고를 보고 바로 신청했고 참여하게 되었다.
월요일에 만나기로 해서 11.20일 월요일에 디스코드에서 만났다.
첫만남이라서 조금 떨렸는데 재밌게 회의를 진행한 것 같다.
전체적인 가이드, asana, figma로 해야할 것들과 하고 싶은것들을 대략적으로 이야기 하는 시간이었다.
중점적인 기능은 화상회의와 socket.io를 활용한 채팅이었고 이러한 기능을 디폴트로 두고 다른 여러 부가적인 기능을 추가하기로 했다.
나는 백엔드를 담당했기 때문에 기획적인 부분은 최대한 프론트쪽의 생각을 많이 듣고 어떻게 데이터를 구상할지에 대한 의견을 제시한 것 같다.
2023.11.20 (월) 정리
- 전체적인 기획과 서비스 방향 팀원들과 회의
- asana를 통한 일정관리 시작
- 대략적인 Tech Stack 지정
- 백엔드는 nodejs, express, mongodb로 일단 정했고 캐시가 필요하면 redis를 추가하기로 했다.
- 배포는 netlity랑 koyeb으로 CI/CD까지 끝내는것이 목표지만 서버쪽은 AWS EC2도 생각을 열어두기로 했다.

2023.11.22 (화)
오늘은 딱히 회의에서 결론내려진것이 없었다.
figma로 ui가 하루면 나올줄 알았지만 프론트쪽에서 figma를 다루는것이 익숙하지 않으셔서 우선적으로 asana에 ui를 마무리 하는 마감기한(목)을 지정했다.
백엔드에서는 mongodb 아틀라스를 생성해서 서로 db를 공유했고 socketIO에 대해서 공부하는 시간을 가졌다.
아키텍처는 routes - controllers - services - repositorys 하면서 클래스 기반에 OOP는 아니지만 기능에 따라서 코드를 분리하고 모듈화해서 함수의 활용도를 높이기로 하였다.
나에게는 익숙한 아키텍처이고 express의 자유도를 제한할수 있는 팀프로젝트에 적합한 아키텍처지만 나와 같이 하시는 백엔드분 께서는 풀스텍쪽에 가까워서 한번도 경험해본적이 없는 아키텍처이기 때문에 설명을 해줬는데 거부감없이 좋다고 해주셔서 감사했다.
2023.11.22 (화) 정리
- FE : 목요일까지 figma ui완성
- BE : socketIO와 mongodb 연결
- BE : 목요일까지 프로젝트 initial setup
- BE : ui 완성되면 바로 db 스키마 FE와 회의 후 스키마 제작

2023.11.22 (수)
오늘은 프로젝트 초기 셋업과 mongodb연결해서 레포에 올렸다.
한달정도의 프로젝트라고 생각했기 때문에 router들을 동적으로 라우팅하는 방식으로 app.js를 구성해봤는데 기능이 생각보다 적을것 같아서 메인기능을 완성되면 추가적으로 기능을 넣자고 말해보려고 한다.
일단은 다른 한분의 백엔드 분께서 소켓 공부를 하신다고 하셔서 나도 같이 공부해서 맞춰보려고 하고 있고 백엔드는 이렇게 마무리가 되었다.
프론트쪽에서는 약간 오해가 있으셨는데 figma를 완성해서 보여달라는 이야기가 대략적인 db 스키마를 제작하기 위한 가이드를 부탁한거였는데 디자인을 완성해달라는 의미로 이해하셨나 보다......
그래서 다시 제대로 설명을 드렸고 목요일까지 완성하기로 asana에 등록을 했다.
이제 소켓공부하면서 가상 프론트를 제작해서 테스트해보고 user 스키마랑 채팅 스키마만 제작하면 금방 끝날 것 같다.
생각보다 속도가 많이 더딘데 어쩔수 없는것 같다.
다들 하고 있는 스케줄이 있는 상태에서 사이드프로젝트를 진행하는것이다 보니까 물론 전부 취준생과 학생이라는점은 안비밀이지만!!!
다들 자신들의 공부스케줄도 있을 것이기 때문에 천천히 소통을 하면서 진행할 것 같다.
2023.11.22 (수) 정리
- FE : 목요일까지 페이지별 figma 작업 완료
- BE : 프로젝트 초기 셋업 및 db 연결, 아키텍처에 맞는 폴더 구조 생성
- BE : 목, 금 스케줄이 있어서 피그마 완성되면 스키마 구축하고 user쪽 api 내가 한다고 이야기 했음.(주말동안 할 예정)
- BE : socket.io 공식문서 한번 읽어보고 필요하거나 재밌어 보이는 메소드 정리해서 기획 추가하거나 할 예정

2023.11.23 ~ 2023.11.24 (목, 금)
- 중요한 일정으로 인해서 팀원분들께 양해를 구하고 다른 작업을 했음.

2023.11.25 (토)
오늘까지 어느정도 이야기 했던 기획은 마무리가 되었다.
더 추가하고 싶은 기획도 있었는데 그 부분은 확실하게 마무리가 안되었다.
원래라면 기획을 완벽하게 하고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싶은데 온라인과 각자의 하고 있는 업무들이 있는 사이드 프로젝트라서 최대한 개인의 시간을 존중해줘야 했기에 약간 속도감은 떨어졌다.
백엔드는 내가 user와 auth쪽까지 api를 빠르게 끝내기로 이야기를 했고 다른 한분은 socket 연결을 가상의 프론트로 진행하기로 했다.
2023.11.25 (토) 정리
- FE : figma 수정 및 보안
- BE : socket.io로 양방향 통신까지 mock_front로 확인
- BE : user 스키마 완성, api는 화요일까지 구현 완료를 목표

매일매일 기록하며 추가/수정 할 예정